한전, ‘울릉도 친환경에너지 자립섬’ 결국 포기…추진 법인 '해산' 결정
정책/공기업 > 공기업 | 2019-07-04 07:00:03

울릉도 친황경에너지 자립섬 조성사업 조감도.<사진=경상북도>
한국전력공사(사장 김종갑)가 ‘울릉도 친환경에너지 자립섬’ 건설 계획을 청산하기로 최종 결정했다. 포항지진 등 여파로 지열발전이 사실상 불가능해졌고 이를 대체할 재생에너지 자원도 부족하다는 판단에서다.
4일 관련 업계에 따르면, 한전은 최근 이사회를 열고 경북도·울릉군·LG CNS·도화엔지니어링과 함께 설립한 특수목적법인(SPC) ‘울릉도 친환경에너지 자립섬(주)’ 해산추진(안)을 원안 의결했다.
2014년 제11차 국가과학기술자문회의에서 에너지 분야 신모델로 선정된 울릉도 친환경에너지 자립섬은 육지와 떨어진 섬에서 주로 사용하던 디젤발전을 신재생에너지와 에너지저장장치(ESS)를 결합한 친환경 에너지로 대체하는 사업이다. 총 예상 사업비만 2685억 원에 이른다.
한전은 2015년 경북도·울릉군··LG CNS·도화엔지니어링 등과 SPC를 설립하고 2026년까지 울릉도 디젤발전을 지열·태양광·수력·풍력 등 신재생에너지로 100% 대체할 계획이었다.
그러나 2017년 발생한 포항지진이 지열발전소에 의해 촉발됐다는 정부합동조사단의 조사결과가 지난 3월 발표됨에 따라 울릉지역 주민들은 지열발전에 강력한 반대 의사를 내세웠다. 실제로 울릉도 친황경에너지 자립섬 사업 계획을 보면 태양광, 소수력, 풍력, 지열 중 지열발전이 전체 발전량의 87%를 차지한다.
결국 경북도는 지난 1월 한전이 포함된 ‘울릉도 친환경에너지 자립섬(주)’ 이사회에 사업 중단 입장을 공식적으로 전달했다.
한전은 이사회에서 △포항 지진 여파로 지열발전소 건설추진이 불가능하고 △지열발전을 대체할 재생에너지 자원 역시 부족하다고 판단했다.
정부정책 변경도 사업 백지화에 속도를 붙였다.
산업통상자원부는 유가가 하락하며 도서 지역의 디젤발전 운영비가 줄어들자 2016년 10월 신재생에너지 사업자를 유가 하락과 함께 감소한 디젤발전 운영비 한도 내에서만 지원하도록 고시를 개정해 수익성이 악화됐다.
한전 관계자는 “정부의 정책변경으로 손실이 발생할 수 있고 민간금융 조달도 곤란한 상황”이라며 해산추진 배경을 설명했다.
[CEO스코어데일리 / 유영준 기자 / yjyoo@ceoscore.co.kr]
Copyright @CEO LAB. All rights reserved.